메뉴 바로가기 컨텐츠 바로가기

남동구 로고 남동구보건소


응급처치

  1. 건강정보
  2. 응급처치

응급의료체계에 도움을 요청하는 방법

응급환자를 신고하는 방법

증상이 매우 심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응급의료체계(국번없이 119)로 연락을 취해 즉시 도움을 요청해야 한다. 전화가 연결되면 전화 상담원에게 기본적인 사항을 정확히 전달해야 하며, 구급차가 현장에 도착 할 때까지 연락체계를 계속 유지함으로써 간단한 응급처치법 등에 대한 조언 을 받아가며 위급한 상황에 대처해야 한다.

응급환자 신고시 반드시 전달해야 할 사항

  • 환자가 발생한 위치, 주소 및 전화번호
  • 환자상태와 응급상황이 발생한 경위
  • 주위의 위험요소 유무: 화재, 사고, 위험물질 등
  • 환자의 수

증상이 경미하더라도 반드시 응급진료가 필요한 경우

  • 기침 시 혹은 가래에 피가 섞여 나오는 경우
  • 소량이라도 피를 토하는 경우
  • 가슴에 갑자기 통증을 느낀 경우
  • 잠시라도 의식을 잃었던 경우
  • 신체에 마비증상이 일시적으로 나타났던 경우
  • 기타

구급차가 도착하기 전에 일반인이 취해야 할 조치

구급차가 도착하기 전까지 현장에 있는 사람이 직접 필요한 응급처치를 시행해야 한다. 단, 이 단원에서 제시한 내용만을 시행해야 하며 자신의 추측에 의하거나 정확하지 않은 응급처치를 시행한다면 오히려 환자의 상태가 더욱 악화 될 수 있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일반인이 취해야 할 응급처치

  • 기도유지 : 호흡이 없거나 불규칙한 경우에만 시행
  • 인공호흡 : 호흡이 없는 경우에만 시행
  • 지혈 : 외부 출혈이 심한 경우에만 압박지혈법을 이용
  • 기타 : 응급의료체계(전화 119)전화 상담원이 제시하는 처치법

구급차가 도착하기 전에 환자를 옮겨야 하는 경우

  • 주위가 위험한 현장 : 화재, 건물붕괴, 침수등
  • 주위에 위험물질이 있는 경우 : 유독가스, 발화성 물질등

기도가 폐쇄된 경우에 나타나는 증상과 기도를 확보하는 방법

기도가 폐쇄되는 경우

  • 어린이나 노인 : 이물질(사탕,고기,땅콩등)을 삼키다가 기도가 막히는 경우
  • 외상·사고 : 입안이 손상되어 부러진 치아나 출혈등에 의해 기도가 막히는 경우
  • 의식이 없는 경우 : 혀가 뒤로 말리거나, 또는 구토물에 의해 막히는 경우

기도가 폐쇄될 때에 나타나는 증상

  • 기도가 완전히 막히면 말을 하지 못하면서 양쪽손으로 목을 쥐는 브이-사인(V-sign)이 나타나면서 얼굴과 입술이 파랗게 변하는 청색증 이 관찰된다. 또한 기도가 일부분 막히는 경우에는 환자가 기침을 하지만 말을 할 수 없으며, 매우 안절부절 못하는 행동을 나타내지만 청색증은 나타나지 않는다.

기도폐쇄에 의한 청색증

하임리히법

기도를 막고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방법

  • 호흡상태가 정상이고 의식이 있는 경우에는 계속 기침을 하도록 유도 하며 지속적으로 기침을 해도 이물질이 배출되지 않을 때에는 즉시 응급의료체계 (전화 119)로 연락을 취한다.
  • 1세이하 혹은 2세라도 체중이 10kg이하인 환자에게서 기도가 폐쇄된 증상이 관찰되면 환자의 얼굴이 위로 향하도록 환자를 자신의 팔위에 올려놓고 손으로 환자의 얼굴이 아래로 향하도록 뒤집어서(돌려서) 턱을 잡은 손이 환자를 떠받치면서 다른 쪽 손바닥으로 환자의 견갑골(어깨뼈)사이의 등을 5회 정도 연속해서 두드린다.

유아의 기도폐쇄 응급처치

물에 빠진 사람을 구했을 때 응급처치

수면위에서 취해야 할 응급처치

  • 수면위로 환자를 구조하는 순간부터 인공호흡을 시행해야 하며 방법은 그림과 같다.

    물에 빠지 사람의 구조

    물에 빠진 사람의 구조

    수면위에서의 인공호흡

지상에서 취해야 할 응급처치

  • 인공호흡을 하면서 수면에서 지상으로 환자를 구조한 다음에는 목의 경동맥에서 맥박을 확인하며 맥박이 있으면 인공호흡을 계속하지만 맥박이 만져지지 않으면 바로 심폐소생술을 시행 한다.

맥박확인

갑자기 의식을 잃은 환자에 대한 응급처치

의식을 확인하는 방법

  • 환자의 어깨를 잡고 살며시 흔들면서 '여보세요, 괜찮으세요?' 혹은 '정신차리세요!'라고 묻는다.(그림)의 방법으로 의식을 확인하였으나 전혀 반응하지 않으면 응급의료체계로 연락을 취한다.

환자의 호흡 확인

혼수상태(의식이 전혀없는 상태)에서의 응급처치

  • 구급차를 요청한 다음에는 환자의 호흡을 확인하며, 호흡이 정상적이라면 그대로 자세를 유지한 상태에서 구급차를 기다린다.
  • 단, 응급처치에 대한 교육과정을 이수한 경우에는 회복자세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잘모르는 일반인들이라면 시행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 호흡을 확인 할 때에는 자신의 얼굴을 환자의 얼굴에 가까이 하면서 눈으로 가슴의 움직임을 관찰하고(호흡이 있으면 가슴이 올라갔다가 내려가는 운동이 관찰됨) 귀로는 환자의 호흡음을 들으며, 뺨의 촉감을 이용해서 환자가 내쉬는 수(공기)을 확인한다 만일 호흡이 불규칙하거나 이상한 호흡음이 들리면 손가락으로 환자의 턱을 들어 올린후에 호흡음을 다시 관찰한다.
  • 호흡이 없으면 인공호흡을 2회 시행하면서 심폐소생술에 따라 응급처치를 계속한다.

환자의 턱을 올려 호흡한다.

외부출혈이 발샐한 경우의 응급처치

외상(칼에 베이거나 날카로운 물체에 찌린 경우등)에 의해 외부의 출혈이 심한 경우에는 간단한 응급처치를 시행하면서 응급실을 방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압박지혈법1

  • 일반인이 시행하는 응급처치 로는 출혈되는 부위를 손바닥으로
    힘껏 눌러주는 압박지혈법 이 가장 바람직하다. 일단, 출혈되는 부위를 압박하기 시작했다면15분이상 지속적으로 압박해야한다.

압박지혈법1

압박지혈법2

  • 압박해도 지혈이 되지 않고 병원까지 이송하려면 1시간이상 소요되는 경우에는 출혈부위를 묶되
    ① 폭이 3∼5cm가 되는 천이나 혁대 등을 이용
    ② 묶은 후에는 1시간이 경과할 때마다 10분씩 풀어 주어야 한다.

압박지혈법2

외상환자에 대한 응급처치법

교통사고 혹은 추락사고 등으로 인해 외상환자가 발생한 경우에는 환자를 절대로 움직이지 말도록 하고 119로 도움을 요청해야 한다. 구급차가 도착할 때까지 현장에서 필요한 응급처치를 시행하고 안전하게 이송하는 것이 좋다. 의식이 없는 경우에는 기도를 유지하고, 호흡이 없거나 맥박이 만져지지 않는 경우에는 심폐소생술과 같은 기본적인 응급처치를 시행하면서 차를 기다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골절(뼈가 부러짐)된 경우

  • 도움을 요청할 수 없는 상황(산악 등)에서는 신문지, 나무 등을 이용하여 골절이 의심되는 부위를 고정시킨다. 신문지를 이용 하는 경우에는 신문지 2∼3장을 넓게 펴서 돌돌 말은 것 2개를 준비하여 통증부위의 주 위관절을 모두 고정 한다.

신문지를 이용하여 관절을 고정하는 응급처치요령

목에 통증이 심한 경우

  • 도움을 요청할 수 없는 상황(산악등)에서 수건을 넓게 편 다음에 목의 넓이만큼의 간격으로 수건을 접는다 접은 수건을 목에 감고 핀으로 고정 하면 훌륭한 부목이 된다.

목에 통증에 대한 응급처치

팔다리가 마비된 경우

  • 환자를 절대로 움직이지 못하게 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 이다. 구조시까지 체온을 보호할 수 있도록 두꺼운 모포로 환자를 덮어주어야 한다.

경련이 발생한 환자에게 취해야할 응급처치

응급환자 신고시 반드시 전달해야 할 사항

  • 환자가 발생한 위치, 주소 및 전화번호
  • 환자상태와 응급상황이 발생한 경위
  • 주위의 위험요소 유무: 화재, 사고, 위험물질 등
  • 환자의 수

화상부위의 응급처치

화상은 크게 1도 화상, 2도 화상, 3도 화상으로 분류 되며, 1도 화상은 통증이 심하고 피부색이 벌겋게 변하는 반면에 2,3도 화상은 수포(물집)가 나타나는 특징이 있다. 화상이 발생하면 손바닥 크기 이내의 국소적인 1도 화상을 제외하고는 즉시 병원에서 진료를 받아야 한다. 손바닥 크기 이내의 국소적인 1도 화상인 경우에 국한하여 차가운 수돗물(흐르는물)로 화상부위를 적심으로써 통증을 완화시키는 것이다. 또한 비록 1도 화상이라도 병원에서 진료를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1도 화상

2도 화상

3도 화상

곤충이나 동물에 물렸을때의 응급처치

벌에 쏘인 경우의 응급처치

  • 야외에서 곤충(벌 등)에 쏘였을 때에는 벌침의 침낭에 있는 물질이 면역 반응(아나필락시스)을 유발하여 통증, 호흡곤란, 쇼크등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신용카드 등으로 물린 부위를 긁어서 침을 신속히 제거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 벌에 쏘인 경우에 증상에 관계없이 즉시 병원을 방문해야 하는사람
    • 과거에 약품 알레르기가 있었던 사람
    • 주기적으로 알레르기 질환이 나타나는 사람 : 알레르기성 비염, 알레르기성 결막염, 알레르기성 피부염(아토피), 알레르기성 천식 등
    • 벌에 쏘인 후 특별한 증상이 나타난 경우

벌에 쏘인 경우의 응급처치

뱀에 물렸을 때의 응급처치

  • 뱀에 물린 경우에는 움직이지 말고, 다음 그림처럼 물린 부위를 심장보다 아래쪽으로 위치시키고, 물린 부위를 부목으로 고정 시킨 다음 병원으로 이송한다. 단, 병원까지 이송하는 데 장시간이 소요되는 경우에는 물린 부위의 위쪽을 넓은 천(폭3∼5cm)으로 살며시 묶되, 묶은 천과 신체는 손가락 1개가 들어갈 수 있도록 충분한 여유가 있어야 한다.

    뱀에 물렸을때 응급처치

    뱀에 물렸을때 응급처치

약물 복용이 발생한 경우의 응급처치

누군가 약물을 복용하는 상황을 목격한 경우에는 환자를 신속히 병원으로 옮겨야 한다. 다만 병원까지 거리가 먼 경우에 한해서는 환자가 토하도록 응급조치를 취한 다음에 병원으로 옮길 수도 있다. 가정에서 재빠르게 취할 수 있는 응급조치로는 환자의 입안에 손가락을 집어넣어서 구토를 유발시키거나 소량의 소금물을 먹이는 것이다. 다만 의식이 명료하지 않은 경우에는 어떠한 응급처치도 일반인이 시행해서는 안 된다. 약물을 복용한 후에 시간이 경과할수록 의식이 점차 흐려질 수 있으므로 병원에 도착하기 전에 다음과 같은 조치를 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약물중독환자가 병원에 도착하기 전에 취해야 할 조치

  • 약물의 이름과 성분이 적힌 봉지를 찾는다.
  • 약물을 복용한 시간과 양을 미리 알도록 한다.
  • 약물복용 후 환자가 토한 횟수와 양을 미리 알도록 한다.
  • 약물을 먹게 된 경위를 정확히 물어본다.

콘텐츠 내용에 만족하셨나요?

자료관리 담당자 :
보건행정과 / 의약관리팀
TEL :
032-453-5080
FAX :
032-453-5079
OPEN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이용조건 : 출처표시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