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남동구 Namdong-Gu 구민을 편하게 경제를 활기차게 남동을 새롭게 남동구 Namdong-Gu


식품안전

  1. 분야별정보
  2. 식품/위생
  3. 식품안전
  4. 식중독 정보
  5. 식중독

식중독이란?

정의

  • 식품 섭취로 인하여 인체에 유해한 미생물 또는 유독물질에 의하여 발생하였거나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감염성 질환 또는 독소형 질환

식중독의 분류 및 원인

식중독의 분류 및 원인 : 뷴류, 종류, 원인균 및 물질
분류 종류 원인균 및 물질
미생물 식중독 (30종) 세균성(18종) 감염형 살모넬라, 장염비브리오, 콜레라, 비브리오 불니피쿠스,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 병원성대장균(epec, ehec, eiec, etec, eaec), 바실러스 세레우스, 쉬겔라, 여시니아 엔테로콜리티카, 캠필로박터 제주니, 캠필로박터 콜리
독소형 황색포도상구균, 클로스트리디움 퍼프린젠스, 클로스트리디움 보툴리눔
바이러스성(7종) - 노로, 로타, 아스트로, 장관아데노, a형간염, e형간염, 사포 바이러스
원충성(5종) - 이질아메바, 람블편모충, 작은와포자충, 원포자충, 쿠도아

※ 식중독은 일반적으로 구토,설사,복통,발열 등의 증상을 나타내며 원인 물질에 따라 잠복기와 증상의 정도가 다르게 나타남

식중독을 예방하려면?

주요 식중독 원인균별 특성 및 예방

분류 특성 감염원 주요증상 예방
살모넬라
식중독
62~65℃에서 30분간 가열 시 사멸 식육, 난류, 유제품, 가축, 쥐 등 섭취 후 24시간 전후 복통, 설사, 발열 구토 등 가열, 조리, 저온보관
장염비브리오
식중독
바다, 갯벌 수온이 21℃, 염도 3%의 농도에서 왕성히 증식하나 60℃에서 15분, 100℃에서 수분내로 사멸 어패류, 생선회, 초밥 등 섭취 후 10~18시간 내에 급성위장염, 복통, 설사, 발열, 구토 등 가열, 조리 어패류의 5%이하 냉장보관하고, 수돗물로 깨끗이 씻고 칼, 도마, 조리기구 등의 살균, 세척 소독 실시
황색포도상구균
식중독
80℃이상에서 30분 가열하면 사멸. 균이 생산하는 장독소는 100℃에서 3분간 가열해도 파괴되지 아니함. 사람의 피부, 도시락, 곡류 가공품 등 3시간 전후 구토, 설사, 복통, 발열 등 화농성 질환자의 조리 금지. 위생복, 위생모자 등의 착용
병원성대장균
(o157:h7)식중독
사람의 장관 내에서 베로 독소 생성 햄버그, 생우유, 생과일주스, 상추, 무순 등 섭취 후 48시간 전후 복통, 설사, 혈변 등 충분한 가열 조리, 주방기구 세척 소독, 조리음식 신속 섭취

식중독 예방수칙

  • 조리 전 비누 등을 사용해 30초 이상 손 씻기.
  • 상처난 손으로 조리하지 않기!
  • 칼과 도마 소독하기
  • 칼, 도마는 식품재료별로 구분하여 사용( 어패류 / 육류 / 채소류 등)
  • 가금(조류), 수산, 육류는 완전히 익혀먹기(74℃에서 1분 이상 가열조리)
  • 채소는 반드시 씻은 후 절단하기
  • 채소류를 희석한 식초액에 씻어 사용하기
  • 조리된 음식은 상온에 방치하지 말고 가능한 신속히 섭취하기
  • 남은 식품은 5℃이하에서 저온 보관합니다.
  • 조리에 사용된 기구 등은 세척, 소독하여 2차 오염을 방지합니다.

식중독 예방 3대 요령 : 손씻기, 익혀먹기, 끓여먹기

콘텐츠 내용에 만족하셨나요?

자료관리 담당자 :
식품위생과 / 식품안전팀
TEL :
032-453-8540
FAX :
032-453-2759
OPEN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이용조건 : 출처표시

퀵링크

직원업무

닫기

이렇게 검색해 보세요!

원하는 정보를 좀 더 정확히 찾을 수 있습니다.

이름 검색
두자리 이상 입력
ex) 길동
담당업무 검색
한 단어로 입력
ex) 여권
전화번호 검색
국번없이 뒷자리
ex) 2174
대표번호
032-466-3811
야간당직
032-453-2222

알림서비스

닫기

일자리정보

닫기

실시간 채용정보

전체보기

오시는길

닫기

지도 건너뛰기
주소 :
인천광역시 남동구 소래로633 (만수동)
전화번호 :
032-466-3811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