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중독이란?
정의
식중독의 분류 및 원인
분류 | 종류 | 원인균 및 물질 | |
---|---|---|---|
미생물 식중독 (30종) | 세균성(18종) | 감염형 | 살모넬라, 장염비브리오, 콜레라, 비브리오 불니피쿠스,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 병원성대장균(epec, ehec, eiec, etec, eaec), 바실러스 세레우스, 쉬겔라, 여시니아 엔테로콜리티카, 캠필로박터 제주니, 캠필로박터 콜리 |
독소형 | 황색포도상구균, 클로스트리디움 퍼프린젠스, 클로스트리디움 보툴리눔 | ||
바이러스성(7종) | - | 노로, 로타, 아스트로, 장관아데노, a형간염, e형간염, 사포 바이러스 | |
원충성(5종) | - | 이질아메바, 람블편모충, 작은와포자충, 원포자충, 쿠도아 |
※ 식중독은 일반적으로 구토,설사,복통,발열 등의 증상을 나타내며 원인 물질에 따라 잠복기와 증상의 정도가 다르게 나타남
식중독을 예방하려면?
주요 식중독 원인균별 특성 및 예방
분류 | 특성 | 감염원 | 주요증상 | 예방 |
---|---|---|---|---|
살모넬라 식중독 |
62~65℃에서 30분간 가열 시 사멸 | 식육, 난류, 유제품, 가축, 쥐 등 | 섭취 후 24시간 전후 복통, 설사, 발열 구토 등 | 가열, 조리, 저온보관 |
장염비브리오 식중독 |
바다, 갯벌 수온이 21℃, 염도 3%의 농도에서 왕성히 증식하나 60℃에서 15분, 100℃에서 수분내로 사멸 | 어패류, 생선회, 초밥 등 | 섭취 후 10~18시간 내에 급성위장염, 복통, 설사, 발열, 구토 등 | 가열, 조리 어패류의 5%이하 냉장보관하고, 수돗물로 깨끗이 씻고 칼, 도마, 조리기구 등의 살균, 세척 소독 실시 |
황색포도상구균 식중독 |
80℃이상에서 30분 가열하면 사멸. 균이 생산하는 장독소는 100℃에서 3분간 가열해도 파괴되지 아니함. | 사람의 피부, 도시락, 곡류 가공품 등 | 3시간 전후 구토, 설사, 복통, 발열 등 | 화농성 질환자의 조리 금지. 위생복, 위생모자 등의 착용 |
병원성대장균 (o157:h7)식중독 |
사람의 장관 내에서 베로 독소 생성 | 햄버그, 생우유, 생과일주스, 상추, 무순 등 | 섭취 후 48시간 전후 복통, 설사, 혈변 등 | 충분한 가열 조리, 주방기구 세척 소독, 조리음식 신속 섭취 |
식중독 예방수칙
식중독 예방 3대 요령 : 손씻기, 익혀먹기, 끓여먹기